난소는 난자를 보관하며 배란이 이루어지는 기관입니다. 난소 건강에 따라 난임 및 불임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난소에서 발생하는 성 호르몬 분비를 통해 여성 건강이 유지됩니다. 난소낭종은 난소에 발생하는 일종의 종양입니다. 내부가 장액성, 점액성 액체이거나, 지방, 혈액, 농양 등 수액 성분으로 차있어 난소물혹으로도 불립니다.
기능성 낭종 | 양성 난소 종양 |
---|---|
여포 낭종 황체 낭종 난포막 황체화 낭종 | 자궁 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낭종 점액성 난종 염증성 낭종 |
배란 과정에서 발생 배란과정에서 장애가 있을 시 기능성 낭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불명 대부분의 양성 난소 종양은 발생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골반 염증 염증성 난종의 경우 골반염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자궁 기형이 있다고 해도 모든 여성이 임신과 출산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자궁중격은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고 난임 및 습관성 유산을 유발 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자궁중격으로 인한 유산율이 65%로 보고 되어 있는 등 그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자궁 내 격막은 혈관 분포가 적어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배아의 착상을 방해합니다. 격막이 아닌 다른 자궁내막에 착상을 하더라도 자궁의 확대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격막으로 인한 습관성 유산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난소낭종의 크기가 작거나 기능성 난소낭종인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난소낭종의 크기가 큰 경우 아래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난소낭종으로 인해 난포 성숙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월경 주기의 문제가 발생하여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개 이상의 항목이 해당 될 시 정확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난소는 임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난소낭종 치료에 앞서 정확한 검사를 통해 난소낭종 치료가 필요한지 체크합니다. 난소낭종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환자의 임신 희망 여부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선택합니다.
폐경 이후 발생한 난소낭종은 비교적 높은 확률로 악성일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폐경 후 발견한 난소낭종은 즉각적으로 수술을 통해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이 난소낭종확률은 높지 않지만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도 난소낭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에게 발생한 난소낭종은 악성의 가능성이 높아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난소낭종 발생 시 난소 낭종의 크기와 증상을 고려하여 치료를 선택합니다.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자연적인 소멸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우선적으로 추적관찰을 합니다. 일정기간 이상 질환이 자연치유되지 않거나 커지는 경우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를 합니다.
골반초음파 / CT검사 / MRI검사 / 혈액검사
추적관찰 / 약물치료 / 수술치료
정기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