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자궁은 자궁 내막층과 자궁 근육층, 자궁 외막층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의 가장 안쪽에 있는 자궁 내막층의 조직이 자궁 근육층으로 침입하는 질환입니다. 자궁내막 조직은 월경 주기에 따라서 크기가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궁 근육층에 침입한 자궁 내막 조직이 점점 주변 조직을 밀어내며 크기가 커집니다. 이 때 자궁 벽이 비후해지면서 주변 장기를 압박하고 자궁 내 출혈이 발생합니다.
가임기에 이르러 자궁내막층이 두꺼워지면서 착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를 합니다. 수정된 세포가 자궁 내막층에 착상이되어 임신이 이루어집니다.
임신 준비로 두꺼워진 자궁 내막에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필요한 자궁내막층이 탈락되면서 생리혈로 배출됩니다.
호르몬 조절 치료 | 침습적 치료 | 하이푸 치료 | |
---|---|---|---|
치료 방식 | ● 자궁 내 미레나 장치 ● 피임제 등 호르몬 조절 약물 복용 | ● 복강경을 통한 선근종 절제술 ● 자궁 적출수술 | ● 강도가 높고 초점이 세밀한 초음파 열 에너지를 이용한 질환 조직 괴사 |
적용 가능 범위 | ● 심하지 않은 선근증 증상 ● 수술이나 하이푸 등 물리적 치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 | ● 자궁선근증이 선근종 형태로 발생하여 선택적 제거가 용이한 경우 ● 자궁선근증 발병 범위가 넓은 경우 ● 폐경에 임박한 여성 | ● 자궁선근증 치료 후 임신을 희망하는 경우 ●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수술 없이 치료하고 싶은 경우 ● 자궁 적출 없이 자궁선근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 |
장점 | ● 치료 직후 별도의 회복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음 | ● 수술 직후 병변 부위가 제거 | ● 절개가 없어 수술 직후~2일 이내에 일상생활 복귀 가능 ● 자궁이 보존되는 치료이기 때문에 자궁 기능 보존 가능 |
단점 | ● 호르몬 치료에 대한 부작용 반응이 있을 수 있음 ● 근본적인 치료가 아닌 증상 완화 치료 | ● 수술에 대한 부담감 ● 수술 후 일정기간의 회복이 필요 ● 자궁 적출로 인한 월경 중단 및 불임 | ● 질환의 위치와 범위에 따라 적용 가능 여부 결정 |